■'삶을 위한 영화 에세이 쓰기 클럽' 회원을 모집합니다.
영화는 우리의 생각을 미지의 지점으로 도약시키며
영상, 텍스트, 그림, 사진, 음악 등의 다양한 매체와
삶과 사회에 대한 인문/사회학적 담론이 융합된, 풍성한 글감의 보고입니다.
‘삶을 위한 영화 에세이 쓰기’ 클럽은
다양한 영화를 글감(매월 한편의 영화)으로 삶을 투영하고 삶 너머를 바라보는
그래서 삶을 풍요롭게 하는 에세이 쓰기를 지향합니다.
또한 ‘영화 읽기’와 '글쓰기' 학습을 수반한, 정기적인 영화 에세이 쓰기를 통해
종합적인 글쓰기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를 위해 영화 읽기와 글쓰기에 관한 학습 자료들을 수시로 제공해드리며
클럽 채팅방에서 '감상평 인증', '에세이 인증'을 진행하고
매월 마지막 금요일 저녁, 신촌에 있는 카페에서 정기모임을 가집니다.
■어떤 영화를 다루나요?
현대 영화의 범주에 속하는 9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의 예술영화, 독립영화, 상업영화 중에
민주주의, 자본주의, 시민권, 젠더, 소수자, 환경 등 동시대의 사회적 담론들과
관계, 성장, 사랑, 고통, 죽음, 희망 등 보편적인 삶의 주제들을 이야기하는 작품들을 다룹니다.
재작년 11월~12월에는 마렌 아데의 <토니 에드만>(2016)을
1월에는 올리비에 아사야스의 <논-픽션>(2018)을
2월에는 리차드 에어의 <칠드런 액트>(2017)를
3월에는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원더풀 라이프>(1998)를
4월에는 한가람 감독의 <아워 바디>(2018)를
5월에는 마이크 밀스의 <우리의 20세기>(2016)을
6월에는 플로리안 헨켈 폰 도너스마르크의 <작가 미상>(2018)을
7월에는 요아킴 트리에의 <사랑할 땐 누구나 최악이 된다>(2021)를
8월에는 하마구치 류스케의 <우연과 상상>(2021)을
9월에는 알렉산더 페인의 <바튼 아카데미>(2023)를
10월에는 폴 슈레이더의 <퍼스트 리폼드>(2017)를
11월에는 웨스 앤더슨의 <애스터로이드 시티>(2023)를
12월에는 켄 로치의 <나의 올드 오크>(2021)를
올해 1월에는 데이빗 로워리의 <그린 나이트>(2021)를 다루며
글쓰기와 정기 모임을 진행해왔습니다.
■2월에 다룰 영화는 무엇인가요?
2월 영화는 에드워드 양의 <독립시대>(1994) 입니다.
아마도 많은 분들께 대만 감독 에드워드 양(1947~2007)은 <하나 그리고 둘>(2000)이라는 작품으로 각인돼 있을 것입니다.
많은 분들이 <하나 그리고 둘>을 인생영화로 꼽아주시기도 합니다.
하지만 에드워드 양을 <하나 그리고 둘>과 등치시키기에는, 그가 가진 얼굴이 너무나 다채롭습니다.
대체로 많은 감독들이 자신만의 스타일이나 양식안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거장이라 불리는 감독들도 자기 스타일을 변주하는 정도를 넘어 완전히 새로운 형식을 구현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그런 면에서 에드워드 양의 필모그래피는 놀랍습니다.
<하나 그리고 둘>의 관조적 거리감이 무색한, 눅진한 감정적 밀도와 서정을 보여주는 데뷔작 <해탄적일천>부터
다큐멘터리적 질감의 <타이페이 스토리>, 유럽 모더니즘에 버금가는 실험과 혁신을 보여주는 <공포분자>,
롱테이크 미학의 정수를 보여주는 걸작 <고령가 소년 살인사건>까지, 하나같이 고유한 빛깔을 발합니다.
2월 영화 <독립시대>역시 그렇습니다.
<하나 그리고 둘>이나 <타이페이 스토리>에 드러나는 에드워드 양의 진중한 얼굴에선 상상하기 힘든 풍자와 익살이 번뜩입니다.
고도로 현대화된 타이페이를 배경으로 수많은 군상들이 쉴새없이 주고받는 수다의 향연을 보고 있자면,
파리의 '에릭 로메르'가 연상되기도 합니다.
에드워드 양의 터치로 빚어진 블랙코미디는 남다르고 특별합니다.
형식의 만화경 속에서도 그가 일관되게 탐구해온 주제, 전통과 현대, 신념과 욕망의 이중주 속에서 연주되는
동시대 대만 사회의 불협화음은 <독립 시대>에서 더 요란스럽고 유별나게 울려퍼집니다.
꾸준한 영화 에세이 쓰기를 통해
유연하고 단단한 글쓰기 역량을 기르실 분들을 환영합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더욱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고 가입 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 많은 관심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