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린 1편에 담긴 세상사
novio21
도서
0
3,605
2014.05.20 01:57
언젠가 ‘혜경궁 홍씨’가 썼다는 ‘한중록’이 거짓된 이야기란 이야기를 들었다. 아마도 역사적 비극 속에서 자신을 변명하기 위해 썼다는 것이 그 이유였던 것 같다. 그래서 나온 책이 소설 ‘역린’ 시리즈인 것 같다. 무엇보다 생존을 위해 사투를 벌여야 하는 궁중 암투 앞에서 부부란 관계는 허울뿐이란 사실을, 그리고 소설이 정말 사실 같고, 사실이 소설 같은 것이 세상이란 생각이 들었다.
영조, 분명 개인적으로 슬픈 왕이다. 위로는 형, 경종을 죽였다는 의심을 받고 있고, 그리고 자신의 자식을 뒤주 속에 가둔 이로 역사에 기록된 왕으로 말이다. 그는 또한 죽음의 위기로 자신의 손자를 내몬 임금이기도 했다. 어쩌면 태종이나 세조보다 더 극악한 가족관계를 갖고 있다. 평생 동안 불운한 가족사로 인해 좌불안석일 수밖에 없는 그런 인간이었다. 자신의 혈육을 죽였다는 왕이란 오명을 씻기 위해 정치를 잘하려 했을 것이다. 그래서 그는 명군이란 이름을 탐했을 것이다. 탕평잭을 통해 신하들을 묶으려 했고, 다양한 애민정책을 통해 백성들의 경제적 삶을 안정시키려 했다. 그래서 그는 조선 후기의 중흥기 대다수의 시기를 맞이하도록 만들었다. 그러나 그의 정당성은 흔들릴 수밖에 없었고, 그는 언제나 번민 속에서 힘들어 해야만 했을 것이다.
소설의 시작은 사도세자의 죽음이지만 지금까지의 뻔한 사실로부터 시작하지 않고 노론이란 당에 이끌리는 조선으로 시작한다. 노론에 저항하는 자는 세자도 무사하지 못했고, 어쩌면 왕도 그랬을 것이다. 소론의 후광을 뒤에 업었던 경종이 왜 그렇게 죽어야 했던가는 역사적 사실을 되짚어 보면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왕이 존재했지만 왕의 힘이 약한 나라가 된 조선은 그렇게 약해지고 있었다.
권력투쟁이란 것이 다 그러려니 하겠지만 사실 조선의 권력투쟁, 아니 왕을 중심으로 짜인 계급사회에서의 권력투쟁은 결국 목숨을 두고 싸우는 로마 검투사 경기와 하등 다를 바 없다. 상대를 죽여야 상대가 차지했던 관리 자리를 뺏을 수 있을 것이며, 돈과 명예도 다 뺏을 수 있는 것이다. 여느 집안에서의 결혼과 달리 왕과 그 가족과의 혼담은 집안을 순식간에 상승시킬 수도 있으며, 동시에 위험한 곡예를 하는 카드놀이가 될 수 있다. 그러나 관리가 되어야만 돈도 벌고 허영심도 부릴 수 있는 조선의 관료사회는 사실 피할 수 없는 길들로 넘쳤다. 사색당파 뒤에 감춰진 관료 이외의 대안이 없던 시절의 불운이 사대부란 허울 속에 각종 특혜를 누린 양반들을 짓누르고 있을 뿐이다. 관료가 되지 못하면 자신을 키워준 부모는 물론 가문 전체에 의해 매도되는 것은 당연한 시대였다. 그런데 무슨 대안이 있었겠는가?
이를 위해 그들은 못할 짓이 없었으며 심지어 그렇게도 좋다고 금슬이 좋네 뭐네 하면서 공동체의 이익을 위해 금칠을 하던 부부 관계도 권력이란 이름 앞엔 계약 관계를 넘어 스파이짓도 불사하는 아내를 만들고 있다. 하긴 오늘날의 부부 관계도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의 관계와 그리 달라 보이진 않는다. 이혼이 많은 시절을 생각하면 말이다. 부부가 그냥 계약관계인 세상은 현대는 물론 조선이라고 다를 것도 없다. 허울뿐인 인간관계 속에서 아슬아슬한 곡예를 타야만 인간들의 비루한 몸짓들이 소설 ‘역린’에서 치열하게 보인다.
어느 정도 역사적 사실을 알고 있다 하더라도 그 속에 담긴 인간사의 비극 모두를 알 수 없을 것이며, 또한 그 속에서 보이는 인간들의 불편한 진실을 다 짐작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래서 역사소설의 매력이 존재하는 것 같다. 다 알지만 결코 알 수 없는 것들이 존재하며, 역사책에 담긴 것들이 사실은 승자들이 만든 거짓이란 것을 나이를 먹으면서 알게 된다. 승자가 마냥 옳을 수 없는 이 현실 앞에 부당한 권력으로 인한 희생은 지금의 우리들에게도 만연된 것이며, 이런 희생을 당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역사의 맥을 짚어가면서 픽션을 가미한 역사소설책들을 읽어야만 할 이유는 충분하다. 어쩌면 이 세상에서 죽지 않기 위해 봐야 할 처세술인 것이다.
사도세자는 죽으면서 어쩌면 인생의 마지막 도박을 건다. 그것도 자신을 죽이려 한 인생 최대의 적인 자기 아내와의 공조를 통해서 말이다. 인생의 아이러니라 할까? 사실 하늘 아래 최악의 원수가 같은 목적을 향해 달리게 된다는 것이 말이다. 남편을 죽여도 되지만 자식은 안 된다는 이 묘한 역설은 어쩌면 그나마 부부란 관계가 붙어 있을 수 있는 마지막 마지노 노선일 것이다. 하지만 아들은 아들이며, 그런 비극을 통해 성장해야 할 아들은 결코 마음 편한 인생을 살 수도 없을 것이며, 비극을 넘어서 뭔가를 해야 할 슬픈 운명을 타고 났다. 인간이라면 결코 선택하고 싶지 않은 그런 인생을 억지로 살게 된 정조의 운명은 사실 가련하기 그지 없다. 그래도 살 수 밖에 없다는 DNA의 명령 앞에 복종하면서, 그리고 아버지의 원한을 갚아야 할 복수심에 복종해야 할 정조의 운명은 그래서 소설가들의 마음을 울리나 보다. 이보다 더욱 극적인 사실이 어디 있을까?
다음 편이 기대되는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이다. 인간 관계의 허망함 속에서도 뭔가를 이뤄내야 할 운명을 타고난 이의 고단한 인생과 그의 성공담, 그리고 결코 쉽지 않고 행복하지 않은 인생을 사는 방법에 목마른 자들을 위한 자리를 마련해줘야 하니까 말이다. 소설을 쓰는 것도 서비스라면 그런 서비스를 해줄 사람들이 나오기 마련이며, 이를 통해 우리들의 삶은 이어지며, 또한 생존하기 때문이리라. 그리고 언제나 조심스레 인생을 살아야 할 이유를 알려주기도 한다. 인생은 쉬운 것이 아니고 누군가를 믿기엔 많은 가시밭길이 너무 많으니까 말이다. 그래도 성공하는 자들이 있어 힘이 나니까.